별 일 없었던 해 같기도 하고, 그래도 이것저것 일들이 있었지- 라고 생각되기도 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기분이 제법 차분하다. 지나간 2023이 너무 아쉽다, 라기 보단 2024가 더 걱정된다 라는 마음. 이건 뭐 매해 강도만 달랐지, 비슷했던 연말의 공통 감상이다.
-
두가지 기억
기억1.
초등학교 시절 중 언제인지조차 묘하다는 게 참 이상하다. 보통 학년마다 노는 친구 구성이 달랐기 때문에 어렴풋한 기억이라도 친구의 얼굴이 함께 떠오르고, 아 몇학년 때겠구나라고 추정이 가능한데말이다. 떠오르는 얼굴은 전혀 없고, 그 기억엔 그 집의 위치. 구조 그리고 구 집안밖을 정신없이 뛰어다니던 많은 아이들만 생각난다.
그 집은 성황산의 입구 근처에 있었다. 성황산은 부안읍내에 있는 유일한 산이었다. 지금은 상소산이라고 뜨던 데, 원래 상소산인데 입말로 성황산이라고 불렀는지, 중간에 이름이 바뀌었는 지는 알 수가 없다. 어렸을 적 난 성황산도 아니고, 발음 가는 대로 서광산 이라고 부르곤 했다. 그리 높은 산은 아니었고 산 정상까지의 길이 공원길처럼 너르게 닦여있고, 거의 꼭대기까지 차로 가버리면 한 5분이면 쑹- 하고 가버릴 수 있는 나즈막한 산이었다. 성황산은 백일장 대회나 소풍갈 때 자주 가는, 어린아아들에게도 익숙한 산이다. 성황산 입구 즈음에 조용하게 생긴 집들이 몇 채 있었다. 그 집들은 당시 유행하던 벽돌양옥집 양식 같은 것을 뒤집어 쓰지 않고 그냥 시멘트를 툭툭 쌓아서 슬라브 지붕을 올려버린 게 아닐까? 라고 생각될만큼 단조로웠다. 부안 읍내에도 사실 단순한 집들은 꽤 많았지만, 성황산 입구 부근에 있던 집들의 인상이 강했던 이유는 성황산을 조금만 올라가더라도 그 집들의 안쪽이 훤히 보여서 였다. 벽돌담은 없거나 낮았고, 단조로운 시멘트집에 또 창문은 또 큼직큼직해서 세간살이 같은 게 언뜻언뜻 비치곤 했다. 집이 작거나, 다닥다닥 붙어있는 그런 느낌은 또 아니었는데, 집들이 뭐랄까 너무 단조로워서 무슨 창고 하나를 지어두고 색색깔 슬라브지붕 올려서 그냥 집으로 하고 살지 뭐, 라고 한 것만 같았다. 부안읍이 그리 땅이 비싸고, 밀도가 높은 읍은 아니었기에, 어린 생각에도 이 오르막에 굳이? 집을 지어서 사는 사람들은 누구지? 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런데 어느날 내가 낯선 아이들 무리와 어울리게 되었는데, 그 아이들 중 하나가 우리집에서 놀래? 하고 자기 집으로 데려간 적이 있었다. 나도! 나도!! 하면서 아이들은 수가 불어 거의 열명 가까이 되는 아이들이 그 아이의 집으로 갔는데 그 집이 그 성황산 입구 오르막에 있는 집이었다. 집은 외부에서 보는 것과 흡사하게 안 구조도 너무 단조로웠다. 방인지 거실인지 모를 것만 냉큼 있고 끝인데다가 그 안에 가구도 별로 없었다. 그저 바닥에 이불따위가 펼쳐져 있는 그 방에서, 드르륵 문만 열면 바로 외부. 그 아이의 부모님은 둘 다 부재하고 계셨고, 덩그러니 집만 있는 데서 그 열명의 아이들은 방과 마당, 대문 사이사이를 막 이리저리 뛰어다니면서 정신없이 놀았던 기억이 있다.
내가 그 기억이 참 특이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 이후 몇 해 지나지 않은 내 초등학교 시절에도 한번씩 그 아이가 잘 살까? 하고 한번씩 궁금해했는데, 그 아이가 누군지도 모르겠고, 그 집이 어디였는지도 헤아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때는 내가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텔레비전에서 달동네, 달동네 하던 곳에 나도 갔었는데, 그 달동네의 아이는 잘 살까? 라고??
그런데 지금 돌이켜보면, 그 집을 포함한 입구 오르막의 집들이 딱히 달동네는 아니었던 것 같다. 사실 부안이 굳이 달동네가 있을만한 도심이 아니고, 성황산 입구 바로 아래에는 부안군청도 있었고, 도서관도 있다. 거기서 한 10분만 걸어가면 초등학교까지 나오기에 입지 자체가 나쁘다고 할 수 없었다. 그 집들 뒤로 산이 있다는 건, 사실 성황산이 말만 산이지, 거의 공원 수준인데… 외진 곳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지극히 부동산적(?)인 입장에서 봤을 때 땅값이 비싼 입지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 그쪽을 유독 선호하는 분들이 있어서 원래 땅주인들이 집을 쉽게 팔 것 같지 않은 느낌의 그런 입지?
근데 왜 나는 아, 오늘 한 가난한 아이가 사는 집에서 놀다왔어- 라는 기억으로 남기고 말았을까. 정작 정신없이 놀 때는 그런 것과 전혀 상관없이 여기저기 뛰어놀다 왔으면서.
기억2.
우리집은 내가 유치원 때 한번 이사를 했다. 처음 살았던 곳은 상가 뒤편의 작은 단칸방이었다. 우리집이 상가를 직접 운영했던 것은 아니고 상가는 세를 줬었고, 우리집은 상가 옆 한사람이나 겨우 들어갈 수 있는 터널같은 골목을 지나, 그 뒤에 있는 단칸방이었다. 그 방 크기가 한 5평 정도 되려나? 거기에 우리 총 다섯가족이 연탄불을 떼면서 살았다. 그래도 작은 마당이 있어서 마당에서 꿩을 잡아서 먹었던 기억도 있고, 유치를 빼서 지붕 너머로 던졌던 기억도 있던 추억의 집이다.
각방이 있는 빨간양옥집으로 이사갈 줄을 미리 알고 있었기에, 다들 그러려니 하면서 살고 있었던 때, 동네 골목에서 유치원 친구를 만난 나였다. 여자아이였는데 좋아했던 여자애 뭐 그런 건 아니었고 그냥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던 그런 친구 중 하나였다. 그 아이는 동네 친구는 아니었고 어디 갔다가 집에 가는 길에 동네 골목에서 혼자 놀던 나를 발견하고 자연스럽게 서로 인사를 했나 보다. 어찌 된 건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집에 가볼래? 뭐 이런 식으로 해서 그 친구를 집으로 데려갔다. 집엔 마침 아무도 없었고, 집엔 이것저것 그래도 놀 게 있었으니깐 하면서.
터널같은 골목을 지나고 마당이라고 하기엔 꽤 작은 터, 아궁이 부엌, 재래식 화장실 그리고 단칸방. 방에는 그래도 세 어린이가 자랐던 곳이기에 꽤 다채로운 것들이 있었다. 무슨 트로피 같은 것이 옷장 위로 쭉 나열되어 있기도 했고. 플라스틱 로보트 장난감 따위 등등.. 나는 멜로디언 건반을 하나, 둘 쳐봐주기도 했다. 그런데 그 친구의 눈빛이 아, 뭐랄까- 너, 좀 딱하구나… 라고 생각하는 걸 당시에 느꼈던 것 같다. 그래서 괜히 아, 여기 앞에 가게 그것도 우리집꺼야, 막 이런 식으로 얘기했던 기억. 네가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 그렇게 가난하지 않아, 라고 약간 허둥댔었고, 그 친구는 집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그냥 휘- 둘러보고 갔다.
이것도 지금 생각해보면 그 친구가 정말 그렇게 생각했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냥 별로 친하지도 않은 애가 놀 거 많다고 집에 데려갔는데, 막상 가보니 별로 놀것도 없네- 하고 가던 길이나 가야겠다 한 거 일수도 있다.
기억이란 참 이상하다
-
낙산을 넘어
대학로에서 걸어서 한 2-30분 정도이기에
가끔 대학로에서 약속이 있거나 할 때
조금 일찌감치 나와 걸어아곤 했었는데
언제나 한성대입구쪽으로 살짝 에둘러서 걷곤 했었다.
지도에서 대학로와 집 쪽을 직선으로 이어보면
낙산과 창신 쪽에 그어지는데
여긴 그야말로 언덕배기, 산…. 또 창신 쪽에는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 있어서 길을 중간에 뚝 끊기게 해두고 있어서
외출한 김에 조금 걸어야 할 것 같아서
그냥 나와봤고
아파트 단지 하나가 중간에 가로막긴 했어도
별 무리없는 횡단
오랜만에 낙산에 가보는데
옛날 생각이 많이 났다
단편영화를 찍을 때
신세를 졌던 세탁소는 없어졌고
그 맞은평 정육점은 그대로고
츄러스가게도 바뀌었고
그래도 대학로는 예전에 하도 오래 살아서
뭔가, 정이 가는 도심이다
-
게으름의 좋은 핑계
수면패턴이 역시나 너무 늦게 자고 너무 늦게 일어나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계기가 되었던 것은 연말에 외주 편집 마감이 몰리면서 그야말로 낮밤 뒤바꿔가면서 미친듯이 편집을 하다가 이렇게 된 것.
중간중간에 두번 정도 밤을 새서 돌려보기를 한 두 차례 정도 했지만
하루이틀만에 조금씩 늦어지더니 다시 이 시간대로 돌아가버린다.
규칙적인 운동같은 걸 하면 괜찮아질 것도 같은데
시작하려는 시기를 조금씩 미루고 있다.
밀려있는 것들을 몽땅 다 해치우고
아, 이제 할 게 정말 없네-
규칙을 만들어볼까?
뭐 이런 판타지 같은 생각을 하고있다.
그래도 뭔가 할 게 있다는 게 좋은 일일텐데
게으름의 좋은 핑계가 되준다
-
정리시간 약 2시간
메모를 정리했다
에버노트와 구글킵 그리고 드롭박스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것을 정리했다.
어디 쓰일 지 아리송한 단어따위들
유용하게 보관하고 두고두고 써먹을 수 있기를
-
남원
영화 [희망의 요소]를 보고자 기차표 시간을 맞추뒀었는데
폐막식 축하공연(?)이 길어지자 예정되어있던 영화상영을 취소하고
관객과의 대화는 또 진행했던 기상천외한 풍경
-
잠 너무 많이 잤음
평소 수면시간이 그리 짧진 않은데
수면패턴이 불규칙적이고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한다.
그저께 몸쓸 패턴때문에 거의 밤을 새버리고나서
맘 먹고
그래 한번 쾌적하게 자보거라, 했더니 가뿐하게 12시간 후 일어나있음.
오랫동안 자면
말똥해지는데도 시간이 걸리다가
또 해가 지고나니 몸이 좀 가벼워지는 느낌.
오늘은 몇시 쯤 자게 될까,
내가 궁금하네
-
런
보통 디폴트가 집에 있는 것인데 뭔가 가려운 듯 집 밖으로 나가야 할 때가 있다. 당장 그러더라도 그것을 참고 밤까지 기다리곤 했다. 그리고 만만의 준비를 갖추고 (대개 추리닝과 러닝화 음악 카드) 밖에 나가 천변을 달리는 것이다.
꽤 건강한 행동이지만 규칙적인 습관은 아니다. 뛰는 용기까지 나기까지는 내게 큰 결단이 필요한 것이어서. 한 2주에 한 번 정도 있는 돌연한 이벤트 일 뿐.
꽤나 숨가쁘게 견디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지도에서 보니 꼴랑 1킬로 였다. 그나마 숨 가쁜 몸이 되어 본다는 게 정말 오랜만인 일이었다. 의정부로 이사오고 나서 처음이었다.
그 이전의 기억은 쌍문 근처에 살아서 뛰었던 우이천이 마지막이었다. 의정부의 집은 백석천이 정말 코앞인데 이사를 갈 때 쯤이나 되서야 한 번 뛰는구나.
백수에게 한번 뛰는 거 조차 이렇게 보람차다.
-
쉽지않네, 집
이사를 가고자 집을 좀 보고 있다만 매번 쉽지만은 않다, 서울은. 개인적으로 집을 제일 구하기 좋았던 때는 오히려 우즈벡에 있을 때 였던 것 같다. 거기선 정해진 주거비에 맞춰서 구하면 됐고, 아무리 싼 집이라고 해도 초언덕배기집이나 반지하집, 고시원같은 집 같은 것은 없었다. 그저 옵션이 좀 적거나, 좀 낡았거나 했을 뿐.
아, 이제보니 차이가 있군. 우즈벡은 내가 지금 구하려고 하는 전세가 아니라 월세였어.
전세계를 통틀어 별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전세를 구하려는 게 너무 주제넘은 것일지도.
서울 최대한 외곽으로 가면서 그나마 교통이 좋은 데가 강서구인 것 같아서 그 쪽을 살펴보고 있는데
가는 부동산마다 강서구 문화에요~ 막 이러면서 신축빌라 대출이자지원으로 들어가라고 하는 바람에 좀 지친다.
요지는 신축빌라는 공시가가 아직 안나오고 감정사가 감정한 금액으로 전세가를 설정하는데 집값을 임차인의 대출을 빌어 업계약을 하려는 것이다. 집값이 고공부지로 치솟으면 2년 후에 정말 그 금액대가 될 수도 있지만… 뭐, 사람 일은 모르는 법
현재는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니 어쨌든 안전하다, 라고 계속 유혹하는데 인터넷 찾아보니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한다하더라도 100프로 안전한게 아니었다. 무슨 원리인지 모르겠는데 입주하고 전입신고를 하는 바로 그 시점에 해당 집을 매매거래를 해버리면, 전세보증보험의 약관에 맞지 않는 조건이 되어서 나중에 보증금을 돌려받으려 할 때도 보류처리가 되어버린다고 한다.
지금 보유한 현금보다, 더 큰 대출을 받고 과분한 집에 들어가 사는 것도 찝찝하고
어쨌든 깡통인 게 확실한 대출이자지원 거래를 받아들이기도 찝찝하고
뭐, 그래서 대출이자지원 조건을 내미는 데는 들어가지 않으려 하는데
정말, 집이 없다
아흐-
-
봄봄봄
135mm 로 본 봄
구글포토에서 자동보정 후 긁어왔더니 사진보정이 오락가락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