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DJ

  • [멋진하루-이윤기] 한량과 함께 서울투어

    병운은 뺀질남입니다.

    그는 뺀질거리다 못해, 바람둥이끼도 있는 것 같고, 또 여기저기 돈 빌리는 꼴 봐서는 먹고 버리는 제비끼도 있는 것 같아요. 마음의 상처를 가지고 있는 것 같은 희수를 졸졸 따라다니게 하는 꼴이 그냥 얄미워 죽겠죠?

    그런데 병운은 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그는 사실, 너무 착하 문드러졌어요. 집안 말아먹고, 마누라 도망가게 했다는 사촌 앞에서 화 낼 줄도 모르고, 친구 사귀는 데 사람 가지리도 않아요. 여행사 대표, 술집에서 일하시는 분, 이혼녀, 첫사랑 후배, 날라리 고딩까지 모두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요. 그 외에도 만나는 사람마다 친절하게 인사하죠. 희수가 혼내고, 또 혼내도 절대 마음 상하는 법도 없어요. 오히려 돈 갚아야 할 처지에 희수 맘을 풀어주려고 주차비 내겠다고, 밥값 다 내겠다고 하죠. 그는 희수 맘을 어떻게든 풀어주려고 온갖 애교까지 떨어줍니다.

    사랑하던 남자를 다시 찾아온 것 같은 희수의 이야기인 것 같은데
    영화의 주 포인트은 병운인 것 같아요.
    (물론 서사적으로 봤을 때 주인공은 희수지만요)

    병운이란 인간, 희수에게는 참 요상해 죽겠어요.

    화 내야 할 때도 모르고, 진지해질 법도 모르죠.
    돈 욕심도 별로 없고, 주변 사람들 챙겨주기에 참 바쁘시기도 하죠.

    그런데 가면 갈 수록 병운이란 인간, 참 보통 사람들과 다른 사람입니다.

    콤플렉스에 시달려서 아내한테 병운이랑 잤냐고 물어보는 인간
    철 좀 들라면서 남 치부까지 다 드러내는 인간
    책임감 없는 선생과는

    참 딴판으로 정겹죠.

    그래서 돈 때문에 결혼할 남자도 버린 희수가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해요.
    처음엔 깔끔하게 돈 생각밖에 없던, 희수가
    고등학생의 껌딱지를 같이 떼어주고, 이혼하고 아이와 혼자살고 있는 여자의 돈을 돌려주려 합니다.

    희수는 병운 덕에 차가웠던 가슴을 조금 녹였습니다.

    헤어졌던 연인의 재결합 이야기인줄만 알았던 영화는

    서울이란 도시와는 참 안 어울리는 남자와
    서울을 배회하는 이야기였습니다.

    드라이브 내내 서울이란 도시의 풍경들
    그것을 지나치는 주인공들.
    너무도 다른 태도의 두 주인공

    그리고 이윽고 변화하는 희수.

    이 영화의 매력은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로맨스가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로맨스도 정말 중요한 이야기이죠.

    그런데, 병운이란 인물을 희수에게 잘 보이려고 하는 훈남정도로만 봐버린다면

    서울 풍경 촬영분들이 너무 아깝지 않을까요?

  • [2009.11.1.] 반딧불의 묘를 봤다

    전쟁은

    가장 약한자를 죽이고
    가장 강한자의 배를 살찌우기 때문에

    어떠한 명분이라도
    해선 안되는 것, 같다

    이해관계보다
    사람이 우선이 돼야 하는 건
    상식논리면서도
    자주 잊혀지는 것, 같다.

    그런데
    피랍사태로 파병 철회했던 한국이란 나라는
    또다시 미국의 환영(?)을 받으며
    아프간에 또 파병을 한다지?

    이놈의 썩을

  • [2009.10.31.] 그때 그 사람들을 봤다

    임상수 영화는 세번째였다.

    바람난 가족을 보고 조금 놀랬고

    오래된 정원을 보고 아쉬웠고

    그때 그 사람들을 보고, 참 이 사람.이란 소리가 절로 나온다.

    그의 영화는

    무심한 척, 냉정하고 또한 치밀하다.

    여기저기서 그의 멱살을 쥐려고 달려들어도

    제대로 잡아보지도 못하고 오히려 나가떨어질 것이다.

    또 그 만큼

    정내미가 없기도 하다.

    그것은 매력이기도 하면서, 한계가 될 수도 있다.

    그래도 다음 작품이 기대되는

    독보적인 스타일의 감독이다.

  • [2009.10.30.] 어제 예비군 훈련

    일끝나고

    술 취해서 미안 ㅋ

  • [2009.10.20.] 마로니에 공원에서 사생대회인지 수채화를 그리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봤다

    나도 언제적인가 수채화물감을 파레트에 풀어 쓴 적이 있다.
    아마, 고등학교때도 미술시간에 자습을 시키고 그랬을테니 한 10년 정도 되었을 것이다.

    당시
    미술시간에 수채화만 그리라고 하면
    온통 손에는 물감을 범벅해놓고, 파레트는 이색저색이 뒤섞여놓고선
    도통 이것저것 마음대로 되질 않는다고 혼자 벅벅 짜증만 냈었다.

    그래도 선명한 원색을 흰 종이위에 싸아하고 그어가는, 그 첫느낌을
    꽤 좋아했던 것도 같은데…

    이젠, 누가 그림그리라고 시키지도 않으니
    재능도 없는 이 어른은
    그림그릴 일도 없어져 버렸네

    회의할 때 낙서나 하는 게 다인
    요상한 어른이 돼버렸네.

    작년쯤에 테마여행컨셉으로
    스케치북과 화구용품을 가지고
    사진 대신 그림을 그려오는 여행을 한번쯤 가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더랬는데…

    그것도 아직 못지켯네.
    그것도 아직 못지켰네.

  • [2009.10.17.] 지나친 배탈

    이건 내게
    지나친 배탈입니다

    하루종일
    허기진 배를 움켜쥐다

    저녁 7시가 되서야
    첫끼를 집어넣었단 말입니다

    메마른 감성으로
    꾸역꾸역 쳐넣었단 말입니다

  • [2009.10.14.] 고민

    잠시 고민드는 일이 생겼다

    그 핑계로 이것저것 해야할 일 다 제쳐두고

    웹툰으로 때웠다………….;;;

    아무튼

    선택이란 다른 한 가지를 포기해야 하는 일이다

  • [2009.10.13.] 징후

    신경민도 교체됐고
    윤도현도 하차했고
    김미화는 겨우 살았고
    김제동도 하차했고
    손석희 마저도 하차설이 나돌고 있다…

    물증은 없지만
    대단히 징후적이다.

    사실상
    위의 인사들이 ‘좌파적’이란 딱지 아닌 딱지를 달기에는
    너무도 억울한 감이 있지 않을까.

    저 다양한 방송인들 중
    제 자신을 좌파라고 지칭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고
    직접적인 정치적 발언을 한 적도 없었던 걸로 안다.
    해봐야 풍자적인 신경민 아나운서 클로징 멘트가 다인 걸…

    김제동은 일전에
    조선일보에서 하는 무슨 도서기부사업에 기부금까지 낸 적 있었다.
    그래서 김제동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그들이 그리 ‘급진적인’ 인사들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김제동은 언제나 따라붙는 정치색 논쟁들때문에
    ‘나 좌파는 아니요’ 라고 광고를 하고 다닐 불쌍한 인사였고
    손석희도 마찬가지였다.

    어떤 비판과 차이도 수긍할 수 없어하는
    이 사회 주류적인 수구세력들 같으니라고!

    그런데 이젠 함부로 이명박에게만 책임을 지울 순 없을 것 같다.
    YTN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의 지지율이 54% 대라고 한다.

    우리 사회 안의 이명박을 어느 정도 수긍해야 하는건가…
    참 우울한 정국이네…

    실업률이 10%인가를 넘으면
    사회가 변혁의 시즌으로 넘어가게 된다고 하던데…
    청년실업률이 더 높아져서, 바닥을 치길 기다려야 할까.

    오늘은 발제를 맡은 자본론을 좀 읽어봤는데
    그제나 이제나 그리 크게 나이진 것은 없지만
    나아지고 있긴 하구나
    했다.

    나 살고 있는 동안에
    좀 나아지면 좋으련만.

  • [2009.9.24] 인간

    모가지가 아파 슬픈짐승이여….;;

    흑흑흑

    나 목에 담 걸렸어

    아침마다

    머리를 들 수가 없어서

    손으로 머리와 머리카락을 쥐고 들어 일으키고 있음….ㅠㅠㅠㅠㅠ

  • [2009.9.15.] 왜 그럴까?

    전에는 잠깐만 걸을 때에도

    mp3 이어폰을 꽂고 살았는데

    요즘은 안 그렇다